충남도, ‘역간척’ 대상지에 보령호 최종 선정

뉴스 제공
충청남도청
2016-07-27 14:30
대전--(뉴스와이어)--충남도가 역점 추진 중인 ‘역간척’ 사업 ‘시험대’에 보령호와 서산 고파도 폐염전이 오른다.

도는 27일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생태복원 시범사업 대상지로 보령호와 고파도 폐염전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범사업 대상지 선정 2단계로 진행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시범사업 대상지 선정은 2단계로 진행했다.

우선 ‘닫힌 하구’의 경우, 1단계로 도내 279개 방조제 중 담수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하천이 연결되지 않은 지역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2단계에서는 △담수호 수질과 해역 종 다양성, 담수화 기간, 접근 용이성, 복원 난이도 등 ‘물리·환경’ △방조제 인근 어업 활동, 복원 후 관리 비용, 수산자원 감소 여부 등 ‘경제 및 사후 활용’ △시·군 단체장 추진 의지와 주민 호응도 등 ‘사회·정책’으로 구분해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했다.

폐염전 역시 닫힌 하구와 마찬가지로 물리·환경, 경제 및 사후 활동, 사회·정책 등 세 측면으로 구분해 54곳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상위 5개 방조제와 폐염전을 선정한 뒤, 1∼2위가 위치한 자치단체와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 조사와 현황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실시, 보령호와 고파도 폐염전을 최종 시범사업 대상지로 뽑았다.

◇보령호, 막힌 물길 열어 ‘생명 숨 쉬는 바다’로

앞으로 생태복원 ‘시험대’에 오를 보령호는 ‘홍보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91년부터 6년 간의 공사를 거쳐 조성된 인공 하구호로, 보령 오천면과 천북면을 잇는 방조제의 길이는 1082m에 달한다.

수면 면적은 582만㎡이며, 보령시 오천면과 천북면, 청소면, 홍성군 은하면 등 2개 시·군 4개 면에 걸쳐 있다.

◇최종 물막이 이후 수질 악화

보령호가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것은 지난 1997년 10월 최종 물막이가 이뤄진 이후 수질 악화로 담수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대단위 축사 등 오염원이 인근 홍성과 보령에 산재해 보령호의 현재 수질은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6등급이다.

또 해수 유통 차단으로 갯벌 면적이 크게 줄고, 이로 인해 어족 자원 역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도 물고기 서식지 등 생태계 복원과 수질오염 및 악취 해소 등을 위해서는 바닷물 순환이 필요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생태복원·지역 소득 증대 ‘목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는 △해수 순환을 통한 생태복원 △생태관광 자원 확보를 통한 지역 소득 증대 등을 보령호 복원 목표로 설정하고, 3단계 전략을 제시했다.

1단계에는 보령호 배수갑문 부분 및 완전 개방을 통한 해수 순환으로 수질 및 생태 환경을 개선한다.

배수갑문 개방으로 해수가 순환되면 보령호 수질은 2등급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2단계에서는 갯벌 복원, 물 순환 갯골 및 염습지 조성, 어류·조류 서식처 조성 등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확보한다.

3단계는 생태탐방로와 갯벌 생태공원, 갯벌 체험 공간, 생태관광 기반시설 등을 조성하고, 생태관광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생태복원이 완료될 경우, 보령호는 수질 회복과 수산자원 증가, 연안 생태 건강성 증대, 생물 다양성 증진은 물론, 하구복원 선두주자로서의 이미지 개선, 생태계 서비스 제공, 다양한 생태 관찰 및 체험 공간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파도 폐염전, 생태 개선·생물 다양성 증진

서산시 팔봉면 가로림만 내 위치한 고파도 폐염전은 1940년대 방조제 건설로 바닷물이 차단돼 1960년대 염전으로 이용되고, 2000년대 들어 양어장으로 활용되다 현재는 방치되고 있다.

고파도 폐염전 복원은 △폐양어장·폐염전 복원을 통한 생태복원과 △생태자원 확보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전략은 △갯벌 고유 기능 회복과 해수 순환 체계 구축 등 ‘생태 기반 환경 회복’ △생태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유도 등 ‘서해 환경의 다양성 확보’ △주민과 함께 생태공간 조성 등 ‘공간의 활력 유입’으로 잡았다.

갯벌 복원과 염습지 조성, 수문 확장 및 교량 조성, 사구 식생 복원 및 모래 포집기 설치 등 생태환경 개선 및 생물 다양성 증진 사업을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를 견인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통한 효과는 경제적 가치와 생물 다양성 증진, 생태계 서비스 제공을 통한 주민 소득 증대 등이 기대된다.

◇복원 이후 효과 검증, 관리계획 재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에서는 이와 함께 복원 이후 효과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파악해 관리 계획을 다시 세우는 ‘모니터링 계획’도 제시하고 있다.

모니터링은 총 3단계로, 1단계에서는 퇴적 및 수 환경, 2단계에서는 염생식물과 저서생물, 3단계에서는 물새의 이용 패턴 모니터링을 집중 수행한다.

또 주민 소득 사업 및 프로그램 발주 방안도 내놨는데,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꽃게와 대하, 주꾸미, 바지락 등 고부가가치 수산종묘 방류 사업을 추진한다.

이에 더해 해안경관과 바다낚시터 등 자연자원과 사회문화자원, 어항시설 등 산업자원을 관광자원화 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중앙정부 제안 등 후속 사업 지속 추진◇

이번 연구용역은 서해안 7개 시·군 방조제와 폐염전 등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재평가를 거쳐 당초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시설물을 찾아 복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추진해왔다.

연구용역은 ㈜이산과 충남연구원이 수행했다.

연구용역에는 국내 전문가와 시민단체, 지역 주민 등이 광범위하게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문단 토론회와 국제포럼, 워크숍, 주민공청회, 거버넌스협의회 등을 수차례에 걸쳐 개최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는 도내 방조제와 폐염전 현황, 국내·외 사례조사 및 복원 방향 제시, 복원 가능 후보지 발굴 및 대상지 선정, 시범사업 대상지 복원 방안 등을 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은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전국 확대 계기를 마련하고, 하구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물을 토대로 하구 복원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중앙정부 제안 등 후속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보령 대천웨스토피아에서 열린 최종보고회는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 관계자, 허승욱 도 정무부지사, 보령·서산·서천·홍성·태안 등 5개 시·군 과장 등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용역 최종보고와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웹사이트: http://www.chungnam.net

연락처

충청남도청
개발정책·공공기관이전팀
권오면
041-635-3258